







어느 프록시마인의 에세이 (An Essay by a Proximian)
(KR)
이곳은 하늘과 맞닿아 있지만, 바람 한 점 불지 않는 지하실 같다. 바람에 대한 공포만큼 육중하게 불어난 콘크리트 벽체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브루탈리즘 양식의 밀실을 완성했다. 퀴퀴한 공기와 사람들이 내뱉은 경직된 짧은 숨만이 밀실을 가득 메우고 있다. 그럼에도 밀실은 밤낮없이 바람에 의해 진동하며, 하늘을 부유하는 섬뜩한 감각을 잠시도 내려놓을 수 없게 흔들어 깨운다. 규칙적인 수백 개의 기계 터빈 소리와 불규칙한 바람 소리가 일으킨 불협화음이 인터미션 없이 계속 연주된다. 사방이 막힌 장소에 갇혀 시공간에 대한 인식이 흐려지며 찾아오는 몽롱함과 육신을 뒤흔드는 부유감이 끊임없이 서로 충돌한다. 이 괴기스러운 상충 관계에 대한 무수면 상태가 수십 년째 이어지며 밀실 사람들의 정신은 검붉게 충혈되어 가고 있다.
이 밀실의 이름은 프록시마(Proxima). 위협적인 녹색지대의 확산으로 고향을 잃은 난민들이 집단생활을 하는 공중 난민촌이다. 나는 프록시마인 1세대로, 오랜 유랑 끝에 프록시마에 최초로 정착한 이주 세대의 일원이다. 프록시마는 낙하 위험과 일조량 부족, 소음 문제 등의 여러 이유로 인류 영역의 상공을 떠나 녹색지대의 상공에 자리 잡게 되었다. 추락하는 모든 것을 삼키려는 듯 날카로운 이빨을 드러낸 지상의 녹색지대는 프록시마인들의 공중 생활을 더욱 막다른 궁지로 몰아넣었다. 그러나 창백한 푸른 점처럼 비좁고 이기적인 이 행성 위에서 우리를 환영하는 땅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았다. 세계 각지의 녹색지대 하늘에는 셀 수 없이 많은 프록시마가 떠 있다. 이들이 형성한 형태를 알 수 없는 인공 별자리는 비운을 상징하는 도상처럼 밤하늘을 밝히고 있다.
-
초거대 녹색지대의 시대가 도래한 지 어언 반세기가 지났다. 무분별한 생태 파괴가 낳은 최초의 바이러스는 진화를 거듭하며, 세계 곳곳에 인류가 적응할 수 없는 금단의 땅들을 생성했다. 하지만 인간의 활동이 사라지고 통제 불능의 위협만이 남은 자리에, 푸르른 초목은 무심히 다시 자라났다. 바이러스의 변이와 전파가 계속되면서, 인류의 영역은 기승을 부리는 녹색 넝쿨에 의해 서서히 잠식되어 갔다. 한때 평화로워 보였던 녹색 풍경은 어떠한 감성적 사색도 허용하지 않으며, 불확실한 위험만을 예고하는 서늘한 존재로 다시 태어났다. 녹색은 평화와 치유가 아닌, 공포와 위협의 색. 그렇게 녹색의 상징이 전복된 새로운 세계가 시작되었다.
녹색지대의 세계적인 확산은 인류 거주 영역의 축소로 이어져, 실향민 문제와 인구 과밀 문제를 동시에 일으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프록시마는 다문화의 실향민을 수용하는 천상 낙원처럼 난민들에게 선전되었다. 프록시마의 소식이 처음 전해진 날, 흥겨운 음악과 환희에 찬 대화가 밤새 이어졌던 난민 캠프의 풍경을 잊을 수 없다. 그러나 프록시마 대이주 계획은 혼란에 빠진 육지 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한 하늘 추방이란 계략에 지나지 않았다. 육지인들은 프록시마가 결코 이상적인 장소가 될 수 없다는 한계를 이미 깨닫고 있었을 것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천상 낙원과도 같은 새로운 개척지를 외지인인 우리에게 내어줄 이유가 없었을 것이다. 프록시마의 이름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우며,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높은 외계 행성인 Proxima Centauri b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그들은 이미 우리를 외계적인 존재로 분류했다.
하늘 공간 활용에 대한 구상은 단순히 현실적인 문제 해결을 넘어, 인류의 오랜 소원이 실현된 결과이기도 하다. 손 닿을 수 없는 하늘 공간에 대한 호기심은 인간의 유전적 기억 속에 하늘 세계를 향한 동경을 깊게 새겨왔다. 화창한 가면 뒤에 숨겨진 하늘의 거친 본성은 낭만적인 상상 속에서 뭉게구름처럼 부드러워지고 희미해졌다. 하늘의 재앙을 신의 분노와 노여움으로 연결 지으려는 것도, 어쩌면 그 사나움을 애써 비현실적인 것으로 외면하려는 시도일지 모른다. 인류는 정성스럽게 오려낸 환상들로 하늘 공간을 장식하며 그곳을 모두가 열망하는 장소로 만들었다. “황금빛 햇살이 비치는 평화의 안식처, 신의 품에 안긴 축복의 요람! 인간이 꿈꿀 수 있는 가장 완벽한 고향에서 새로운 미래를 시작하세요.” 프록시마 이주 안내 전단지에 적힌 캐치프레이즈는 난민들을 회유하려는 육지인들의 교묘한 꾀이자, 대대로 이어져 온 인간 종의 허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녹색지대에서 탈출하여 도달한 하늘 공간은 그저 녹색 빛을 잃은 또 하나의 녹색지대에 불과했다.
-
프록시마인들은 육지 사회로부터 정기적으로 공급받는 잉여 자원을 바탕으로 생계를 이어간다. 육지인들은 후환이 두렵지도 않은 듯, 신성하다고 여겼던 드높은 천공에 쓸모없는 것들을 모아 봉헌한다. 육지 사회에서 별다른 의미 없이 버려진 잉여 자원은 프록시마로 유입되어, 이곳만의 독특한 생활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프록시마인들은 삶의 위치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삶의 형태까지 육지 사회로부터 강요받는다. 하늘이 잠잠해져 잉여 자원이 프록시마에 보급되는 날이면, 거대한 해치 앞은 모처럼 온순해진 바람을 맞으려 모여든 아이들로 떠들썩해진다. 아이들은 처음 느껴보는 바람과의 몸 맞춤에 잠시 말을 잃더니, 이내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다시 소란스러워진다. 차라리 나도 그들처럼 밀실 밖의 세상을 전혀 알지 못했더라면, 이곳의 삶을 더 사랑할 수 있었을까. 그러나 고향의 기억은 맑게 갠 밤하늘의 보름달처럼 계속해서 나를 따라온다.
흑색 표피를 지닌 PRF 물푸레나무는 프록시마를 상징하는 대표 잉여 자원이다. PRF 물푸레나무는 범람하는 검은 강물처럼 형태를 바꾸며 프록시마의 내부를 굽이친다. 그것은 보강재와 대기 정화 필터가 되고 천연 단백질과 재생 섬유가 되어 구석구석을 흐른다. PRF(Protect the Rest of the Forest)는 초고율 광합성 유도제로, 전 세계 원시림의 상공에 일제히 살포됐다. 오염된 녹색지대가 확산하며, 육지 사회는 온전한 원시림을 식별하고 보호하는 한편, 줄어드는 숲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 이에 따라 개발된 PRF는 모든 파장의 빛을 광합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식물을 개조해 생장 속도를 비정상적으로 촉진했다. 이 과정에서 PRF 처리된 식물들은 세상의 모든 빛을 흡수하는 대신 스스로의 빛을 잃게 됐다. 기존의 녹색 식물과 확연히 구별되는 검은 식물은, 불도장이 찍힌 가축처럼 오직 인류만을 위해 설계된 식물을 의미했다.
그러나 완전하지 못한 인간의 계획에 필연성을 더하듯, PRF를 흡수한 물푸레나무 수종은 예측한 생장 범위를 초월하며 무섭게 자라났다. 30미터에 달하는 음산하게 뻗친 검은 실루엣들은 바닥에 광막한 그늘을 내리며 더욱 비대해 보였다. 공급 과잉을 일으키고 지상의 햇빛마저 앗아간 PRF 물푸레나무는 결국 육지 사회에서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되었다. 새롭게 조직된 전담 벌목꾼들은 여린 풋잎이 돋아난 나무를 뿌리째 뽑아내고 수십 번 조각내어 하늘로 올려보낸다. 그렇게 운송된 PRF 물푸레나무로 나는 프록시마에서 생활 가구를 제작하는 일을 맡고 있다. 원치 않은 갑작스러운 변화에 적응할 겨를도 없이 외면당한 존재에게서 나는 깊은 동질감을 느낀다. 가장 고운 사포로 곤두선 나뭇결을 어루만지며 PRF 물푸레나무의 마음을 달래고, 내 마음도 고요히 위로한다. 그러나 완성된 검은 가구는 바람에 의한 흔들림 때문에 굵은 닻줄로 기둥에 두껍게 고정돼 있다. 닻줄에 어지럽게 휘감긴 기둥들은 포승줄에 묶인 포로처럼, 오갈 곳 없는 나의 자화상처럼, 밀실에 우두커니 솟아있다.
-
상공에서 녹색지대를 내려다보는 것은 육지인들이 누릴 수 없는 프록시마인의 유일한 특권이다. 내가 일하는 목공소에는 두 손을 포개어 가릴 수 있을 만큼 작은 마름모꼴의 창이 규칙적으로 나 있다. 평온한 정사각형을 살짝 기울이자, 송곳 같은 모서리를 드러낸 이중성의 도형 너머로, 그에 어울리는 녹색지대의 자태가 어렴풋이 펼쳐진다. 성난 먹구름 사이 보이는 녹색 풍경은, 금단의 땅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숨 막히게 평화로워 보인다. 휴식을 취하는 사슴류의 초식 동물들이 보이고, 때때로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대형 포유류들도 관찰된다. 한참 동안 녹색지대를 바라보고 있으면, 굉음을 내며 몰아치는 바람 소리를 가르고 분주한 새들의 지저귐이 들려오는 듯하다. 인류는 한때 자연이라 부르며 예찬하던 모든 것을 이제는 멀리서 바라볼 수밖에 없는 아이러니에 처해 있다. 그러나 울창하게 펼쳐진 녹색지대는 동시에 인류가 스스로 빚어낸 가장 인공적인 풍경이기도 하다. 어쩌면 인류가 믿어왔던 자연은 손 닿으면 맥없이 스러지는 투명한 환영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녹색지대는 출입할 수 없기에 온갖 괴담이 현실로 수용되는 공간이었다. 특히 육지 사회에서 녹색지대는 바이러스에 의해 변이된 돌연변이 생명체들이 군림하는 불가침의 영역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프록시마에서 두 눈으로 목격한 녹색지대의 내부는, 인간의 두려움과 달리 지극히 평범하고 익숙한 숲의 풍경을 이루고 있었다. 어딘가 혼란스럽다. 이 특별한 것 없는 한적한 숲의 풍경이 왠지 모르게 괴담보다 더 섬뜩하게 느껴진다. 녹색지대를 조망할 수 있는 특권은 프록시마에 설계된 마지막 저주였던 걸까. 어느 날부턴가 눈을 감아도 초록빛의 잔상이 망막에 아른거려 잠을 이루지 못한다. 아마도 나를 괴롭히는 이 초록빛은, 인류를 공포로 몰아넣은 녹색지대 속에서도 무한하게 뻗어 나가는 생명의 빛에서 왔을 것이다. 파괴가 비워낸 여백 위에서 녹색지대의 생명들은 눈부시게 피어났다. 초록빛의 잔상 속에는 유한한 인간으로서의 두려움과 초조함이 푸르게 응집되어 있다. 이로써 고전 포스트 아포칼립스 영화에서 묘사된 황폐한 세상은 잘못된 상상이었음이 밝혀졌다. 이곳은 인간만이 살아남은 침체한 세상이 아니라, 인간만이 소외된 생동하는 세상이다.
-
불면증에 시달린 후부터, 나를 옥죄던 밀실의 소음이 이전과 전혀 다르게 들리기 시작했다. 그토록 불쾌했던 바람 소리가 이제는 탄생과 소멸이 진동하는 생명의 노래처럼 들려온다. 프록시마의 외벽에 부딪혀 부서지면서도 끊임없이 다시 불어오는 바람의 모습은, 무한히 나아가는 생명의 행진을 닮았다. 세상의 모든 생명이 바람에서 태어나 바람으로 되돌아가는 듯, 바람은 잠시도 생명의 노래를 멈추지 않는다. 나는 밀실에 울려 퍼지는 그 노랫소리에 귀 기울이며 한동안 바람을 흉내 내듯 춤을 추었다. 생명들의 탄생과 소멸을 축복하고 위로하듯, 무수한 갈래의 바람을 온몸으로 세어보는 상상을 했다. 바람을 타고 떠난 나의 체취와 바람을 타고 온 생명의 향기를 허공에서 이어보는 상상을 했다. 그렇게 춤을 추던 중, 문득 바람이 되고 싶다는 욕망이 내 안에 강하게 휘몰아쳤다. 그것이 매일 밤 찾아오는 초록빛의 잔상에서 나를 해방시킬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바람이 불지 않는 이곳에서 그 욕망의 세기는 하루가 다르게 더욱 거세졌다.
바람이 되겠다는 은밀한 선언을 하고 나는 거짓말처럼 잠에 들 수 있었다. 그리고 오랜만에 꾼 꿈속에서, 어머니와 나눴던 코디연(Cody Kites)에 대한 대화가 떠올랐다. 아직 어렸던 내가 어머니의 손을 잡고 코디연을 처음 만난 곳은 어느 항공 박물관에서 열린 모형 전시회였다. 코디연은 인간을 안정적으로 고공에 띄운 최초의 연으로 소개되었다. 사람을 띄우기 위해 거대한 평면 연 조각들을 3차원의 박스 형태로 이어 붙인 코디연은 압도적인 크기를 자랑했다. 생전 처음 보는 대형 연에 넋을 잃고 있던 나에게, 어머니는 코디연에 매료된 듯 상기된 얼굴로 말을 건넸다. “어릴 적 연을 날리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 연을 조종하는 게 아니라 바람을 움직이고 있다는 느낌이 들곤 했어. 그런데 저 코디연을 타면, 바람을 움직이는 느낌을 넘어 진짜 바람이 된 듯한 기분이 들 것 같아. 바람막이 하나 없이 바람을 맞으며, 바람과 나의 구분이 사라지는 그런 느낌말이야.” 꿈에서 깨어나자마자 나는 그녀의 말을 서둘러 메모했다. 바람이 되기 위해, 기억 속의 코디연을 되살리겠다는 결심과 함께.
그러나 PRF 물푸레나무는 강도가 약하여 바람을 견뎌야 하는 연의 골조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조밀하지 않은 나이테에는 인위적으로 촉진된 성장의 아픔이 고스란히 기록돼 있었다. 고민이 계속되던 어느 날, 나는 목공소 동료로부터 내풍나무(typhoresista)라는 신비로운 수종이 프록시마 내부에서 자생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프록시마의 최하층에는 공중 생활에서 발생한 각종 폐기물과 분뇨가 분쇄되어 저장되는 매립지가 있다. 내풍나무는 밀실 생활의 부산물이 한데 쌓여있는 그 쓰레기 산에서, 프록시마인들의 고통과 억압을 거름 삼아 스스로 자라났다. 그것은 오직 인간만을 위해 설계된 검은 PRF 식물에 저항하듯 줄기부터 꽃에 이르기까지 순백의 색을 품고 있었다. 프록시마인들은 바람에 시달리는 밀실 속에서 태어난 그 새로운 생명에게, 고요한 공중 생활에 대한 염원을 담아 ‘바람을 견디는 나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내풍나무는 생명에 대한 그들의 강한 의지를 닮아 목질이 견고했으며, 코디연의 골조로서도 부족함이 없었다. 그렇게 프록시마에서 검은 가구만을 제작해 오던 나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새하얀 해방의 가구를 완성했다. 되살아난 기억 속의 코디연은 목공소의 검은 가구 더미 사이에서 거대한 순백의 몸을 웅크린 채, 나와 함께 바람으로 다시 태어날 순간만을 기다리고 있다.
-
매캐한 연기가 밀실 바닥을 자욱하게 떠돌고 있다. 어디서 시작됐는지 알 수 없는 불꽃이 프록시마 곳곳의 PRF 물푸레나무에 옮겨붙어 빠르게 번져가고 있다. 화마에 휩싸인 목공소의 검은 가구들은 그을린 자국이 드러나지 않아 스스로 불을 내뿜는 것처럼 비현실적으로 보인다. 공포에 질린 프록시마인들은 서둘러 해치를 개방했지만, 몰아치는 바람에 불길은 더욱 걷잡을 수 없이 부풀어 올랐다. 혼란 속에서 떨림이 진정되지 않는다. 두려움보다는 오랜 기다림의 끝을 직감한 흥분이 날 흔든다. 바람이 되기 직전, 유한한 육체의 껍데기를 탈피하려는 마지막 몸부림처럼, 온몸이 요동친다.
(EN)
This place touches the sky, yet feels like a basement untouched by a single breeze. As heavy and swollen as the fear of the wind, the concrete walls form a Brutalist chamber completely sealed off from the outside world. The space is filled with stale air mingled with people’s tense and shallow breaths. Day and night, incessantly shaken by the wind, the chamber wakes people up by rousing a chill sensation of levitation. The regular hum of hundreds of mechanical turbines, combined with the irregular sound of the wind, creates a dissonance that constantly plays without intermission. Trapped in a place with no way out, the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blurs, and the ensuing daze collides endlessly with the floating sensation that shakes the body. Endless sleeplessness from this grotesque conflict has lasted for decades, bloodily congesting the minds of the people in the chamber.
The name of this enclosed chamber is Proxima — a floating refugee camp for those displaced by the menacing expansion of the green zone. I am a first-generation Proxmian, one of the first to settle on Proxima after years of wandering. It departed from human living areas and settled above the green zone, driven by factors such as the risk of falling, lack of sunlight, and noise disturbances. The threatening green zone, baring its sharp teeth as if to swallow anything that falls, has trapped the Proximians in their aerial existence. However, on this cramped and selfish planet, reminiscent of a pale blue dot, there was no land that welcomed us. Countless Proximas hover above green zones across the globe, creating nebulous artificial constellations illuminating the night sky as symbols of misfortune.
-
It's been nearly half a century since the era of the hyper green zone began. The first virus, born from reckless ecological destruction, underwent repeated evolution, creating forbidden lands around the world where humanity could not survive. Yet, in places where only uncontrollable threats remained after the cessation of human activity, green vegetation regrew indifferently. As the virus continued to mutate and spread, human territories were gradually overtaken by the rampant green vines. Allowing no room for sentimental reflection, the seemingly peaceful green landscape was reborn as a chilling presence premonitory of uncertain dangers. Green became the color not of peace and healing, but of fear and threat. Thus began a new world where the symbolism of green was toppled.
The global expansion of the green zone led to a reduction in human residential areas, simultaneously causing displacement and overpopulation issue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Proxima was promoted to refugees as a celestial paradise accommodating displaced individual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I can never forget the scene of the refugee camp, where joyful music and jubilant conversations continued throughout the night on the day the news first arrived. However, the Proxima mass migration plan was merely a scheme of skyward exile intended to stabilize the chaotic terrestrial society. The terrestrial inhabitants likely realized in advance that Proxima could never be an ideal place; if not, there would be no reason to offer such a heavenly new land to outsiders like us. It is said that the name 'Proxima' is derived from the closest exoplanet to Earth with potential for life — Proxima Centauri b. They have already classified us as extraterrestrial beings.
The concept of utilizing the sky transcends mere practical problem-solving, but is the realization of humanity's long-held aspirations. Human curiosity about the unreachable sky has inscribed in their generic memory a profound aspiration toward the celestial realm. Concealed behind the bright appearance, the turbulent nature of the sky becomes softened and faded like billowing clouds by human romanticism. Linking celestial calamities to divine anger and rages may be attempts to deny its brutalities by turning it into something surreal. Humanity has carefully embellished the sky with crafted illusions, turning it into a place of universal desire. "A sanctuary of peace bathed in golden sunlight, a cradle of blessings embraced by the divine! Begin a new future in the most perfect homeland ever imaginable." This slogan, written on Proxima migration brochures, was both a cunning ploy by terrestrial inhabitants to lure refugees to Proxima and a manifestation of humanity's deep-seated delusions. The aerial space built to escape from the green zone was actually just another green zone without verdant hue.
-
Proximians sustain themselves through surplus resources regularly supplied by terrestrial society. Seemingly not afraid of repercussions, the terrestrial inhabitants consecrate discarded items to their once considered sacred sky. Cast off thoughtlessly, these surplus resources have shaped a unique lifestyle after being introduced to Proxima. Not only Proximians’ living location but also their way of life are dictated by terrestrial society. On days when the sky keeps its calm, surplus resources are delivered to Proxima, and children gather to feel the docile breeze near the giant hatch. Initially speechless at the novel sensation, the children soon fill the air with excited chatter. I wonder, would I have appreciated this life more, if I had not known about the world beyond this enclosed space? Yet, memories of my homeland persistently pursue me, like the full moon in a clear night sky.
The PRF ash tree, with its black bark, is a quintessential Proximian surplus resource. These trees meander through Proxima's heart, like a dark river in flood. It flows into every inner corner, serving as reinforcement materials, air purification filters, natural proteins, and regenerative fibers at the same time. PRF (Protect the Rest of the Forest) is an ultra-high-efficiency photosynthesis inducer, uniformly sprayed over the world's primeval forest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polluted green zones, terrestrial society faced the challenge of identifying and protecting intact primeval forests while efficiently managing the dwindling forest resources. Consequently, PRF has genetically modified plants to harness the full spectrum of light for photosynthesis, which has oddly accelerated their growth rates. In this process, PRF-treated plants absorbed all the light of the world but lost their own glow. The black plants, distinct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green ones, were designed solely for humanity, much like livestock marked with branding iron.
However, as if to highlight the predetermined failure of human plan, the ash trees that absorbed PRF grew fearfully, surpassing the predicted growth range. Stretching up to 30 meters, their ominous black silhouettes cast broad shadows on the ground, appearing even more massive. Causing overproduction and blocking sunlight, the PRF ash trees were classified as invasive species by terrestrial society. The newly formed specialized loggers uprooted young trees, cut them into pieces, and shipped them to Proxima. I am responsible for crafting furniture from those transported PRF ash trees here. I feel a deep empathy with these neglected beings, abandoned before getting used to the unwanted sudden change. By gently caressing the direction of the wood grain with the finest sandpaper, I quietly comfort the PRF ash tree as well as myself. Yet, the finished black furniture is firmly secured to the pillars with thick anchor ropes due to gales. Similar to captives bound with ropes, the pillars stand alone in the enclosed space, entangled in anchor ropes—mirroring my confined reality.
-
Observing the green zones from above is the only privilege to Proximians compared to terrestrial inhabitants. In my woodworking workshop, small rhombus-shaped windows, each scarcely large enough to be covered by two hands, are evenly spaced. By slightly tilting a serene square, its pointy edges reveal the shape's duality; beyond it, glimpses of the serene yet fierce green zone come into view. The verdant landscape, noticeable through the stormy clouds, appears breathtakingly serene as if defying its perilous nature. I could observe cervid herbivores resting, and occasionally, even large mammals thought to be extinct. At times, while gazing at the green zone, I seem to hear the busy chirping of birds cutting through the howling winds. Ironically, humanity is now relegated to observing everything that it once praised as 'nature' from distance. Yet, this vastly expanded green zone simultaneously represents the most artificial landscape humanity has ever crafted. Perhaps the 'nature' humanity believed in was nothing more than a transparent illusion, vanishing at the slightest touch.
Since the green zone is a prohibited space, all sorts of rumors were circulating about it, accepted as truth. Especially in terrestrial societies, the green zone was considered an inaccessible land ruled by creatures mutated by a virus. However, contrary to human fears, the green zone as observed with my own eyes appeared to be an utterly ordinary and familiar forest. Something feels confusing. For some reason, this ordinary, tranquil forest landscape feels even more eerie than the rumors suggested. The privilege of observing the green zone was perhaps the last curse designed for Proxima. At some point, the afterimage of green light has begun flickering in my vision, keeping me awake at night. This green light that torments me must originate from elemental light of life, infinitely spreading even within the green zone that has terrorized humanity. Amid the void left by destruction, life in the green zone blossomed radiantly. Within the afterimage of green light, the fear and anxiety of humans as finite beings condensed into an emerald spot. Thus,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desolate world depicted in classic post-apocalyptic films was a misconception. This place is not a stagnant world where only humans have survived, but a vibrant world where only humans are alienated.
-
Since the onset of insomnia, the noise of the confined chamber that once oppressed me began to sound entirely different. The unpleasant sound of the wind now feels like the song of life, resonating with birth and death. The wind, which incessantly blows, crashing and shattering against Proxima's outer wall, resembles the march of life moving endlessly forward. As if all living beings in the world were born from the wind and returned to it, the wind never ceases its song of life. Listening to that song resonating within the chamber, I danced for a while, imitating the wind. I envisioned feeling the innumerable breezes with my whole body, celebrating and comforting the births and deaths of countless lives. I imagined my scent being carried away by the wind, merging with the fragrance of life brought back by the current of air. While dancing, a sudden desire to become the wind surged within me. I was convinced that this longing would free me from the nightly haunting of the green light's afterimages. In this place where the breeze doesn’t blow, this longing intensifies everyday.
After making a secret declaration to become the wind, I was finally able to fall asleep as if by magic. In a dream I had after some time, I recalled a conversation about Cody Kites with my mother in my hometown. I first saw Cody Kites as a child, visiting a model exhibition in an aviation museum while holding my mother’s hand. The Cody Kite was introduced as the first kite capable of lifting humans into the air steadily. In order to lift a person, it was made of overwhelmingly massive flat kite pieces into a three-dimensional form. As I stood mesmerized by the enormous kite, my mother spoke to me with a hint of fascination. “When I flew kites as a child, there were moments when I felt like I wasn’t controlling the kite, but rather moving the wind itself. But if I could ride this Cody Kite, it might feel like more than just moving the wind—it could feel like becoming the wind itself. Facing the wind without a shield, sensing the boundary between myself and the wind dissolves.” Upon waking up from the dream, I jotted down her words. Determined to become the wind, I decided to recreate the Cody Kite from my memories.
However, PRF ashwood, being too weak to withstand the wind, was unsuitable for the kite's framework. Its sparse growth rings inherited the scars of artificially accelerated growth. While struggling with this challenge, I heard from a fellow carpenter about a mysterious tree species called Typhoresista, which grows naturally within Proxima. Its lowest basement serves as a landfill where waste and sewage from aerial life are crushed and stored. The Typhoresista tree sprouted from that refuse heap, nourished by the suffering and oppression of Proximians. Unlike the black PRF plants designed exclusively for humans, it is pure white from trunk to flower. This life, newly born in the confined chamber perpetually battered by wind, was named the 'wind-resilient tree’, reflecting Proximians' desire for a peaceful life. Its wood was just as resilient as Proximans’ strong will and suitable for the Cody Kite's framework. For the first and last time as a Proximian craftsman, I created a piece of furniture not in black but in pure white, symbolizing liberation. The resurrected Cody Kite from my memories — its vast white body couched among the piles of black furniture in the wood workshop — waits for the moment to be reborn with me as the wind.
-
Thick smoke lingers low in the chamber. Flames of unknown origin have rapidly spread through PRF ash wood across Proxima. Despite burning, the black furniture of the wood workshop shows no visible scorch marks, making it look surreal, as if spewing fire on its own. Frightened Proximians hurriedly opened the hatches, but the rushing wind only fanned the flames, causing them to swell uncontrollably. Amidst the chaos, my body shivers incessantly — not with fear, but with excitement at the culmination of long anticipation. Just before becoming the wind, my entire body trembled, wiggling to molt the final shell of flesh.